해커 윤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커 윤리는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 정보 공유, 개방성, 능력주의, 컴퓨터를 통한 삶의 개선 등을 핵심 가치로 하는 일련의 윤리적 신념 체계이다. 1950년대 MIT에서 시작된 해커 문화는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스티븐 레비는 리처드 스톨먼을 "마지막 진짜 해커"로 칭하기도 했다. 해커 윤리는 기술 발전과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윤리적 해킹 교육을 통해 화이트햇 해커를 양성하고 블랙햇 해킹을 방지하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커 문화 - 메이커 문화
메이커 문화는 재미와 자기 충족을 동기로 능동적 학습을 장려하며, 다양한 영역의 융합과 커뮤니티 기반 지식 공유를 통해 개인 맞춤형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문화 현상이다. - 해커 문화 - 해커스페이스
해커스페이스는 카오스 컴퓨터 클럽의 영향을 받아 시작된 개방적인 커뮤니티 공간으로, 지식 공유, 커뮤니티 형성, 자유 소프트웨어 및 오픈 하드웨어 개발, 사회 참여 활동 지원, 그리고 소외 계층의 참여 확대를 위한 노력을 특징으로 한다. - 컴퓨팅과 사회 - 알고리즘 편향
알고리즘 편향은 데이터 수집 및 설계, 사용 방식 등 다양한 단계에서 특정 집단에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는 체계적인 오류로, 인종, 성별 등 민감한 속성에 따라 불공정성을 야기하며,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개발과 지속적인 연구 및 규제가 요구된다. - 컴퓨팅과 사회 - 디지털 권리
디지털 권리는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한 개념이며, 인터넷 접근성을 보장하고 디지털 환경에서의 인권 보호를 위해 노력한다. - 분권화 - 지역주의
지역주의는 특정 지역 주민들이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행정적, 경제적 자립과 문화적 독립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지방 자치 강화, 지역 내 발전, 전통문화 보존 등을 중시하며, 때로는 분리주의나 국가 간 협력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 분권화 - 페루의 행정 구역
페루는 2002년 지역화 법에 따라 25개의 지역과 리마 주, 칼라오 주로 구성되며, 각 지역은 다시 주와 구로 세분되지만 리마 주는 어느 지역에도 속하지 않는 독특한 행정 구역이다.
해커 윤리 | |
---|---|
개요 | |
범주 | 윤리학 |
지침 | 정보 접근 자유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지식 공유 개방 협력 분산화 프라이버시 무료 넷 해커 사적 이익보다 공공선 추구 |
역사적 맥락 | |
기원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MIT) |
발전 |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FSF) 오픈 소스 운동 |
핵심 가치 | |
공유 |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도덕적 의무다. |
개방성 | 모든 정보에 대한 개방성을 옹호한다. |
분산화 | 권위주의적 시스템에 대한 불신. |
자유로운 접근 | 컴퓨터 접근은 무제한이어야 하며, 총체적 개선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
실력주의 | 능력에 따른 평가. |
해킹 | 시스템 개선의 핵심 동력. |
자유 소프트웨어 | 자유로운 사용, 연구, 수정, 재배포. |
지식 공유 | 정보 접근의 자유, 완전한 것 추구. |
협력 |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을 개선한다. |
비판적 시각 | |
악용 가능성 | 악의적 해킹 및 시스템 파괴. |
저작권 문제 | 저작권 침해 가능성. |
보안 문제 | 시스템 취약점 노출. |
관련 개념 | |
연관 운동 |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오픈 소스 운동 |
관련 인물 | 리처드 스톨먼, 에릭 레이먼드 |
추가 정보 | |
참고 서적 | 해커 윤리와 정보 시대 정신 |
2. 역사
해커 윤리는 1950년대 후반 MIT의 전산실에서 기원했다. 레비는 해킹이 1959년 MIT 전산실에서 시작되었다고 보았다. 당시 MIT 전산실에는 30톤, 약 2.74m 높이의 초기형 IBM 704 컴퓨터가 있었는데, 철로모형기술동아리 학생들이 전산실에 잠입해서 한 시간가량 프로그래밍을 시도한 것이 초기 해커의 기원이 되었다.[28]
MIT에서 발생한 핵이라는 용어는 오랫동안 MIT 학생들이 정기적으로 고안해낸 장난들을 의미했다. 레비는 이러한 맥락에서 해커 윤리를 언급했지만, 오늘날 해커 윤리는 맥락에서 벗어나 인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컴퓨터를 망가뜨리는 해킹을 의미하는 것으로 잘못 이해되거나, 화이트햇 해커의 이상을 묘사하는 것으로 암시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해킹 윤리라는 용어는 컴퓨터 보안 분야에 국한된 것이 아닌, 광범위한 문제에 대한 것이다.
해커 문화는 초기 프로테스탄티즘과 비교되기도 한다. 프로테스탄트 분파주의는 개인주의와 고독을 강조했는데, 이는 고독하고 비판적이지 않은 개인으로 여겨지는 해커와 유사하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초 컴퓨터 문화에서는 해커들 사이의 도덕적 무관심 개념이 나타나기도 했다. 키르크패트릭은 "해커 윤리"의 저자에 따르면 "컴퓨터는 신의 역할을 하며, 다른 사람에 대한 의무를 평가할 때 인간적인 감정보다 우선시되는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키르크패트릭의 "해커 윤리"에 따르면, "최적의 솔루션을 찾을 때까지 문제에 끈기 있게 매달리는 탁월한 집중력과 결단력은 초기 해커의 잘 기록된 특징"이며, "단일 프로그래밍 문제에 밤새도록 기꺼이 일하는 것은 초기 '해커' 컴퓨터 문화의 특징으로 널리 인용"된다.
해커 문화는 미국 청년 문화가 자본주의와 크고 중앙 집중화된 구조에 도전했던 1960년대 청년 문화의 맥락에 위치해 있다. 해커 문화는 1960년대 반문화 내의 하위 문화였다. 해커들의 주요 관심사는 기술적 전문성과 권위에 대한 아이디어에 도전하는 것이었다. 1960년대 히피 시대는 "기계를 전복"하려고 시도했다. 해커들은 기술을 높이 평가했지만, 대기업이 아닌 일반 시민이 기술에 대한 권력을 갖기를 원했고, "전문가의 권위와 거대한 시스템의 지배를 실제로 약화시킬 수 있는 무기"로 보았다.
2. 1. MIT와 초기 해커 문화
MIT 철로모형기술동아리 학생들은 IBM 704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핵(Hack)'이라는 개념을 만들었는데, 이는 건설적인 목표를 위한 프로젝트나 시스템 개선을 의미했다.[28] 이 용어는 MIT 학생들의 장난을 의미하기도 했다. 초기 해커들은 정보 공유와 자유로운 접근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이는 MIT의 개방적인 문화와 관련이 깊다.[5]해커 윤리는 "철학, 윤리, 꿈과 함께하는 새로운 생활방식"으로 묘사되지만, 그 요소들은 공개적으로 논의되기보다는 암묵적으로 수용되었다.[6]


2. 2.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과의 관계
1980년대 초,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은 해커 윤리의 추종자들로부터 시작되었다. 스티븐 레비는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창시자인 리처드 스톨먼을 "마지막 진짜 해커"라고 불렀다.[30] 해커 윤리를 진심으로 따르는, 특히 도전 정신이 투철한 현대의 해커들은 보통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지지자인데, 그 이유는 자유 소프트웨어가 해커들이 소스 코드를 재사용하거나 개선하는 것을 허락하기 때문이다.리처드 스톨먼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 해커 윤리는 이 공동체(해커)의 사람들이 갖고 있는 옳고 그름에 대한 느낌입니다. 지식은 반드시 지식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다른 사람과 공유되어야 하고, 중요한 자원은 반드시 낭비되기보다 이용되어야 합니다.[31]
그리고 더 자세하게, 해킹과 윤리는 별개의 문제라고 말했다.
> 누군가가 해킹을 즐긴다고 해서 다른 사람들을 올바르게 대우하는 윤리적 책임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해커는 윤리를 중요시하지만—예를 들어 제가 그렇습니다.— 해커라고 모두 그런 것은 아니고, 별개의 특성입니다. [...] 해킹은 주로 윤리적인 문제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 어떤 경우에 해킹은 많은 해커들을 윤리적인 문제에 대해 생각하게 합니다. 나는 해킹과 윤리적인 관점 사이의 연결을 부정하고 싶지 않습니다.[32]
3. 해커 윤리의 주요 내용
스티븐 레비는 저서 《해커스》에서 해커 윤리의 일반적인 원칙들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33]
레비는 이러한 원칙 외에도 책의 2장 "해커 윤리"에서 더 구체적인 해커 윤리와 신념을 설명했다.[34] 레비가 제시한 해커 윤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항목 | 내용 |
---|---|
접근성 | 컴퓨터와 정보에 대한 자유롭고 총체적인 접근 |
정보의 자유 | 자유로운 정보 공유와 교환을 통한 창의성 증진 |
탈중앙화 | 관료주의에 대한 불신, 분산화 추구 |
능력주의 | 실력 중심의 평가, 피상적인 기준 배제 |
컴퓨터를 통한 예술과 미 창조 | 프로그래밍을 통한 예술적 표현 |
컴퓨터를 통한 삶의 개선 | 컴퓨터의 긍정적 영향력 강조 |
공유와 협업 | 지식과 기술 공유, 협력적인 문제 해결 |
도전 정신 | 기존 시스템에 대한 끊임없는 도전과 개선 추구 |
3. 1. 접근성
컴퓨터와 정보에 대한 접근은 제한이 없어야 하고 총체적이어야 한다. 이는 해커들이 시스템을 배우고 개선하며,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게 한다.[35][36] 레비는 접근이 기술의 확장을 돕는다고 설명했다.3. 2. 정보의 자유
Information wants to be free|모든 정보는 자유로워야 한다.영어해커가 시스템을 수정, 개선, 재창조하려면 정보가 자유롭게 제공되어야 하며, 이는 접근성 원칙과 직접 연결된다. 정보의 자유로운 교환은 전반적인 창의성을 높인다.[37] 해커의 관점에서 볼 때, 모든 시스템은 정보가 원활하게 이동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다.[38] 이는 사회 과학에서 투명성이라는 개념으로 알려져 있다. 스톨만이 언급했듯이, "자유"는 제한 없는 접근을 의미하며, 가격을 의미하지 않는다.[39]
3. 3. 탈중앙화
정보의 자유로운 교환을 위한 최선의 방법은 정보와 해커 사이에 경계가 없고, 지식과 개선을 추구하는 데 필요한 장비와 인터넷 접속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열린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해커들은 회사, 정부, 대학 등 관료주의 체제를 문제가 있는 시스템으로 간주한다.[34] 이러한 중앙집권적 권위에 대한 불신은 해커 윤리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며, 탈중앙화를 촉진하는 동력이 된다.3. 4. 능력주의
해커 윤리에는 학위, 나이, 인종, 성별, 지위와 같은 피상적인 기준이 아닌 오직 해킹 실력으로만 해커를 평가해야 한다는 능력주의가 내재되어 있다.[34] 해커의 기술만이 해커 집단에서 수용될 수 있는 유일한 기준이며, 이러한 문화는 해커 집단이 해킹과 소프트웨어 개발 실력을 발전하게 만든다.[34]3. 5. 컴퓨터를 통한 예술과 미의 창조
해커들은 복잡한 문제를 간결한 지시로 해결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래밍 기술을 아름답게 생각했다.[40] 프로그램의 코드는 그 자체로 아름다움을 가질 수 있으며, 정교하게 설계된 배치를 통해 예술적인 표현이 가능하다.[41] 초기 해커들은 최소한의 공간으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것을 일종의 게임처럼 즐겼다.[42] 이처럼 컴퓨터 프로그래밍은 단순한 기술을 넘어 예술과 미를 창조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3. 6. 컴퓨터를 통한 삶의 개선
해커들은 컴퓨터가 삶을 풍요롭게 하고, 삶에 초점을 맞추게 하며, 삶을 모험으로 만든다고 느꼈다. 이들은 컴퓨터를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알라딘의 램프와 같이 생각했다.[43] 해커들은 사회의 모든 사람들이 컴퓨터의 힘을 통해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모든 사람이 해커와 같은 방식으로 컴퓨터와 상호 작용하면 해커 윤리가 사회에 퍼져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 수 있다고 믿었다.[44]해커들은 끊임없이 꿈을 현실로 만들어 왔으며, "컴퓨터를 통해 제한 없는 세계가 열린다"는 것을 사회에 알리고자 했다.(레비 230:1984)
3. 7. 공유와 협업
초기 해커들은 MIT 문화에 뿌리를 두고 정보의 자유로운 이동과 자료에 대한 쉬운 접근성을 바탕으로 소스 코드를 공유하고 협업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33] MIT의 해커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다른 사용자와 나누었고, 특히 훌륭한 프로그램은 게시판에 게시되거나, 테이프에 저장되어 모든 해커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서랍장에 보관되었다. 동료 해커들은 언제든지 이 프로그램들을 가져다가 개선하거나, 코드를 간결하게 만드는 "범밍(bumming)" 과정을 통해 발전시켰다.[34]이러한 공유와 협업은 다음 세대에도 이어졌다. 커뮤니티 메모리와 같은 조직은 컴퓨터를 모두가 쓸 수 있도록 만들었고, 사람들의 컴퓨터 회사(PCC)는 누구나 저렴한 비용으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센터를 열었다. 이러한 노력은 자유롭고 열린 소프트웨어 경쟁에 기여했다.[45][46]
레비의 ''해커스''에 따르면, 각 세대의 해커들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공동체에서 협업과 공유를 했다. MIT 해커들은 컴퓨터가 있는 연구실에서, 하드웨어 해커와 게임 해커들은 실리콘밸리의 홈브루 컴퓨터 클럽과 사람들의 컴퓨터 회사에서 교류하고 협업했다.
현대에는 인터넷의 발달로 전 세계적인 협업이 가능해졌다. 에릭 레이먼드는 성당과 시장에서 저렴한 인터넷이 등장하기 전에는 지리적으로 좁은 지역에서 공동체가 자리 잡고 있었지만, 인터넷의 발달로 이러한 제한이 사라졌다고 설명한다.[48] 그는 리눅스의 성공이 월드 와이드 웹의 범용성에서 온 것이라고 말하며, 공동체의 가치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가치로 사용된다고 덧붙였다.
3. 8. 도전 정신
해커들은 기존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도전한다. 이러한 도전 정신은 새로운 기술 혁신을 이끌어내는 원동력이 된다.[47]레비는 해커들이 기존의 아이디어와 시스템을 배우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만들 수 있도록 접근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해커들은 접근성을 통해 대상을 분해하고, 개선하며, 작동 방식을 배우고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새롭고 흥미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는 지식을 얻는다.[35][36]
이러한 도전이 가능하려면 자유로운 접근, 열린 정보, 지식 공유가 필수적이다. 진정한 해커는 도전이 제한될 때, 개선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제한을 풀어나간다. 이러한 원칙이 없더라도, 해커들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예를 들어, MIT의 컴퓨터가 보안 장치로 보호되었을 때, 해커들은 기계에 접근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이를 해결했다.[13]
이러한 행동은 본질적으로 악의적인 것이 아니었다. MIT 해커들은 시스템이나 사용자에게 해를 끼치려는 의도가 없었다. 이는 정보를 훔치거나 사이버 파괴 행위를 위해 보안 시스템을 뚫는 현대 해커의 부정적인 이미지와는 대조적이다.
4. 윤리적 해킹과 교육
디지털 시대에 기술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해커들이 개인 정보를 더 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대응하는 방법 중 하나는 학생들에게 화이트햇 해커가 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화이트햇 해커는 다른 사람이나 시스템에 해를 끼치지 않는 윤리적 기준을 따르며, 악의적인 공격을 막는 능력을 갖춘다. 윤리적 해킹 운동은 로프트(L0pht)와 게토해커스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조명되었고, 대학교 교육 과정에도 포함되었다.
4. 1. 화이트햇 해커 양성의 필요성
사이버 보안 전문가가 부족하며,[50] 악의적인 공격으로부터 시스템을 방어하기 위한 교육 과정 또한 부족하다. 해킹을 올바르게 가르치는 것은 공격을 방어할 수 있는 해커의 수요와 공급 간의 격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레이캬비크 대학교의 이미르 빅퓨슨 교수는 학생들에게 해킹을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하는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해킹 교육이 컴퓨터 보안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고 강조한다.윤리적 해킹 교육은 젊은 해커들에게 도덕적 나침반을 제공하고, 건설적인 방향으로 이끌 수 있다. 화이트햇 해커는 다른 사람이나 시스템에 해를 끼치지 않기 위한 윤리적 기준을 따르며, 이들의 노력은 악의적인 공격을 예방하는 데 기여한다. 로프트(L0pht)와 게토해커스와 같은 프로그램들이 윤리적 해킹 운동을 조명했으며, 이러한 과정은 대학교 수준의 커리큘럼에도 포함되었다.
4. 2. 블랙햇 해킹 방지
디지털 시대가 발전하고 기술에 대한 사람들의 의존성이 커지면서, 해커들은 개인 정보를 더 많이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학생들에게 '화이트햇 해커'가 되기 위한 해킹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화이트햇 해커는 다른 사람이나 시스템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윤리적 기준을 따른다.[49] 이들은 악의적인 공격을 방어하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윤리적 해킹 운동은 로프트(L0pht)와 게토해커스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주목받았으며, 대학교 교육 과정에도 포함되었다.보안 연구자이자 응용 프로그램 보안 개발자인 조 저바이스(Joe Gervais)는 지적 호기심이 강한 학생들이 자신의 행동이 초래할 윤리적 영향에 대해 고려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49] 또한, 다른 분야의 영재들을 위한 수업은 많지만, 젊은 해커들의 호기심을 해결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이 부족하다고 언급했다.
해킹 교육 과정은 젊은 해커들에게 도덕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젊은 해커들은 컴퓨터에 대한 탐구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건설적인 환경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관심 분야를 찾고, 침해해서는 안 될 윤리적 경계를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반적인 분야에 대한 교육을 통해 블랙햇 해커를 줄일 수 있다.
5. 해커 윤리에 대한 다양한 관점
페카 히마넨은 해커 윤리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기록에서 볼 수 있는 덕 윤리와 유사하다고 주장했다.[51][52] 그는 ''해커 윤리와 정보 시대의 정신''이라는 책에서 이러한 생각을 설명했는데, 이 책의 서문은 리누스 토르발스가, 발문은 마누엘 카스텔이 썼다. 이 책에서 히마넨은 해커 윤리의 중심에 열정, 노력, 창의성, 그리고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즐거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히마넨과 토르발스는 모두 핀란드 신화에 나오는 삼포에서 영감을 받았는데, 칼레발라 서사시에 묘사된 삼포는 대장장이 신 일마리넨이 만든 마법의 유물로, 소유자에게 행운을 가져다주었지만, 정확히 무엇이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5. 1. 자유주의 및 아나키즘과의 연관성
해커 윤리는 넓은 맥락에서 자유주의 또는 아나키즘과 연관될 수 있다.[51][52] 그러나 리처드 스톨먼은 해킹(스톨먼은 이를 재치 있는 영리함으로 정의)과 윤리는 별개의 문제라고 말한다.[9] 그는 지식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다른 사람들과 공유되어야 하며, 중요한 자원은 낭비되기보다는 활용되어야 한다는 해커 윤리의 기본적인 원칙을 설명하면서도,[8] 해킹을 즐기는 것이 다른 사람을 제대로 대해야 한다는 윤리적 책임과 반드시 연결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한다.[9] 즉, 일부 해커는 윤리에 관심을 가지지만, 그것은 해커의 필수적인 특징은 아니라는 것이다.[9]참조
[1]
웹사이트
hacker ethic
http://www.catb.org/[...]
2017-02-28
[2]
논문
Hacker practice
https://semanticscho[...]
2008-09-01
[3]
간행물
THE “ANONYMOUS” MOVEMENT: HACKTIVISM AS AN EMERGING FORM OF POLITICAL PARTICIPATION
2014-12
[4]
서적
The Cathedral and the Bazaar
http://www.catb.org/[...]
2020-07-25
[5]
문서
Hackers
[6]
문서
Hackers
[7]
문서
See the title and content of the Epilogue to [[Hackers: Heroes of the Computer Revolution]]
[8]
웹사이트
MEME 2.04
http://memex.org/mem[...]
1996
[9]
웹사이트
The Hacker Community and Ethics: An Interview with Richard M. Stallman, 2002
https://www.gnu.org/[...]
[10]
문서
Hackers
[11]
문서
Hackers
[12]
문서
Hackers
[13]
문서
Hackers
[14]
문서
Hackers
[1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faculty.nps.e[...]
2014-05-21
[16]
문서
Hackers
[17]
문서
Hackers
[18]
문서
Hackers
[19]
문서
Hackers
[20]
문서
Hackers
[21]
서적
We-Think
Profile Books
[22]
논문
Get a fair share of creativity
Metro
2008-03-12
[23]
문서
Hackers
[24]
웹사이트
The Social Context of Open-Source Software
http://catb.org/~esr[...]
Catb.org
2011-07-01
[25]
서적
Mythic Discourses
https://oa.finlit.fi[...]
Finnish Literature Society
2012-12-31
[26]
논문
The Mill in Norse and Finnish Mythology
https://www.jstor.or[...]
1994
[27]
웹인용
hacker ethic
http://www.catb.org/[...]
2017-02-28
[28]
문서
Hackers
[29]
문서
Hackers
[30]
문서
See the title and content of the Epilogue to [//en.wikipedia.org/wiki/Hackers:_Heroes_of_the_Computer_Revolution Hackers: Heroes of the Computer Revolution]
[31]
웹사이트
MEME 2.04
http://memex.org/mem[...]
1996
[32]
웹사이트
The Hacker Community and Ethics: An Interview with Richard M. Stallman, 2002
https://www.gnu.org/[...]
[33]
문서
Hackers
[34]
문서
Hackers
[35]
문서
Hackers
[36]
서적
Hackers
[37]
서적
Hackers
[38]
서적
Hackers
[39]
웹사이트
http://faculty.nps.e[...]
[40]
서적
Hackers
[41]
서적
Hackers
[42]
서적
Hackers
[43]
서적
Hackers
[44]
서적
Hackers
[45]
서적
We-Think
Profile Books
[46]
저널
Get a fair share of creativity
Metro
2008-03-12
[47]
서적
Hackers
[48]
웹인용
〈성당과 시장〉, 1.31.2 버전, KLDP 위키, 2001.
https://web.archive.[...]
2018-09-21
[49]
웹인용
Hacker High: Why We Need To Teach Hacking in Schools
https://www.tripwire[...]
2017-04-28
[50]
웹인용
Cybersecurity Defense Hampered by Lack of ‘White Hat’ Hacker Talent
https://blogs.wsj.co[...]
2017-04-28
[51]
저널
Hacker practice
http://journals.sage[...]
2008-09-01
[52]
학위논문
THE “ANONYMOUS” MOVEMENT: HACKTIVISM AS AN EMERGING FORM OF POLITICAL PARTICIPATION
Texas State University
201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